안녕하세요 배우 지망생 여러분! 오늘은 배우 지망생이 알면 좋은 방송, 영화 용어 해설을 한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현장에서는 대부분 용어를 통해 소통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... 그 많은 용어들 한번 설명해 드릴게요. 오늘 포스팅은 「이지혜 님의 아역배우 오디션 독백 집에서」 정리하여 올립니다. 그 외에도 아역부터 청소년까지 여러 독백들이 많이 정리되어 있어서 혹시 오디션을 준비하는 아역들은 더없이 좋은 책이라 추천드립니다!! 광고 아닙니다^^
일단 사람부분 입니다.
( 여러 파트별 인물 용어입니다. )
▶피디 - 프로듀서.
- 제작자, 기획을 총괄하는 사람. ( 현재 한국의 영화계는 프로듀서와 감독이 따로 구분되어 있으나, 방송계는 PD와 디렉터(연출자, 감독)를 함께 지칭하는 말로, 프로듀서, 디렉터, 연출가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있습니다 )
▶디렉터 - 연출자, 감독
▶씨피 - 부국장, 국장급 PD.
▶에이디 - 조연출자 ( 2급 PD )
▶에프디 - 무대 연출 (현장 조율) 자(3급 PD )
▶라이터 - 작가.
▶스크랩터 - 방송 구성작가, 스크랩터
- 촬영 현장에서 촬영 내용을 자세히 기록하는 사람.
▶디피 - 카메라(촬영) 감독. 촬영의 총책임자.
▶카메라맨 - 촬영 기사.
▶세컨드 - 제2, 3 감독.
▶라이팅 디렉터 - 조명감독.
▶라이팅 맨 - 조명담당.
- 카메라맨의 움직임과 촬영 내용에 맞춰 적절한 조명 제공 담당.
▶오디오 디렉터 - 오디오 감독.
▶오디오맨 - 음향 기술자, 녹음 담당.
▶에디터 - 편집 기사, 편집을 책임지는 사람.
▶티디 - 기술감독.
- PD와 협력하여, 화질, 오디오, 조명, 마이크, 음향 효과 등 기술 스텝을 총괄 지휘하는 기술 부분의 책임자.
▶캐스팅 디렉터 - 배우를 섭외하는 사람.
▶스태프 - 제작진.
▶탤런트 - TV 드라마의 연기자.
▶스탠드인 - 스탠트 맨.
- 무술, 승마 장면 등 위험한 장면에서 배우 연기를 대신하는 대역.
▶엑스트라 - 군중이나 행인 등으로 나오는 보조출연자.
▶엠씨 - 진행자, 사회자.
▶앵커 - 뉴스 진행자.
[ 방송, 영화 관련 용어 ]
▶캐스트 - 배역, 대본의 역할에 맞춰 출연자 선택하는 일.
▶오디션 - 배우, 가수 등의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실기시험.
▶개런티 - 영화, 방송, CF, 공연 등 배우의 출연료.
▶데뷔 - 처음 출연하는 것.
▶시놉시스 - 개요, 요약의 줄거리, 간단히 쓴 스토리.
▶각본 - 극으로써 상영, 촬영, 방송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한 대본.
( TV의 방송용 대본, 영화는 시나리오 )
▶씬 넘버 - 대본의 장면에 붙이는 번호, `S # `로 나타냄.
▶지문 - 대본 안 장면의 내용, 인물의 행동과 심리, 성격 등을 설명한 지시문.
▶프롤로그 - 서막, 타이틀 제목이 나오기 전 장면.
▶에필로그 - 극의 끝에 덧붙인 마지막 장면. 끝부분.
▶콘티 - 영화나 TV에서의 연출 대본, 방송 대본을 말하기도 함.
▶큐시트 -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끝까지 무엇을, 어떤 타이밍에서 방송, 녹음, 녹화할 것인가 일정한 형식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입해 놓은 방송 진행표.
▶비디오 - TV의 영상 부분.
▶오디오 - 음악, TV에서의 음성, 음향 부분.
▶크랭크 인 - 영화 촬영 시작.
▶크랭크 업 - 영화 촬영 완료. 최종 종료.
▶세트 - 촬영을 위해 세워진 장치.
▶로케이션 - 야외(현지) 촬영. 촬영을 위해 선정한 장소에서 촬영하는 것, 줄여서 `로케`라고도 함.
▶리허설 - 실제 공연이나 촬영에 앞서 출연자나 스태프들이 사전에 하는 연습.
▶블록킹 - 제작에 앞서 카메라와 출연자의 위치 및 동작을 세분화하는 작업.
▶리액션 - 행동이나 대사에 대응하는 동작이나 대사.
▶애드리브 - 대본에 없는 즉흥적인 대사나 연기.
▶스탠바이 - 출연자나 스탭에게 준비를 알리는 신호.
▶슈팅 - 녹화, 촬영.
▶액션 - 연기자의 연기, 행위, 연기를 하라는 연출자의 지시.
▶큐 - 연기의 시작이나 중단을 알리는 소리나 몸짓.
▶엔지 - 잘못됐다고 중단하라는 큐.
▶동시녹음 - 촬영할 때 소리도 동시에 녹음하는 것.
▶붐 - 동시 녹음 촬영에 사용하는 낚싯대 모양의 마이크 대.
▶더빙 - 필름이나 녹화 테이프에 소리와 음향효과를 넣는 일.
▶비지 - 배경음악, TV나 연극, 영화 등에서 분위기를 유도하기 위한 음악.
▶내레이션 - 해설, 화면 밖에서 설명하는 소리. 대본에는 N, 또는 NA로 표시.
▶오보 랩 - 겹치는 기법, 대본에 O.L로 표시.
▶이펙트 - 효과음, 화면 밖에서 들리는 음향이나 대사에 의한 효과 소리, 대본에 E로 표시.
▶필터 - 전화로 들리는 목소리, 사람이 이야기하는 소리를 전화로 걸러서 들리게 하는 것, 대본에 F로 표시.
▶편집 - TV, 영화에서 녹화나 촬영한 필름을 잘라 재구성하는 것.
▶페이드인 - 화면이 서서히 밝아지며 나타나는 것.
▶페이드아웃 - 화면이 서서히 어두워지며 사라진다.
▶카메라 포지션 - 촬영기의 위치.
▶앵글 - 카메라의 각도.
▶프레임 인 - 연기자가 화면 안으로 들어옴.
▶프레임 아웃 - 연기자가 화면 밖으로 나감.
▶카메라 워크 - 촬영기의 움직임 촬영 기술.
▶줌 인 - 연기자에 다가간다.
▶줌 아웃 - 연기자로부터 멀어진다.
▶틸트 - 카메라의 위치는 고정시키고 앵글의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.
▶팬 - 카메라의 위치는 고정시키고 앵글만 좌/우 움직이는 것.
▶달리 - 카메라의 이동차.
▶달리 인 - 카메라가 피사체(연기자)에 다가간다.
▶달리 아웃 - 카메라가 피사체(연기자)에 멀어진다.
▶하이 앵글 샷 - 부감샷으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며 찍는 샷.
▶로우 행글 샷 - 양각샷으로 아래에서 위로 향해 올려보며 찍는 샷.
▶리액션 샷 - 반응 연기를 잡는 샷.
▶플로우 샷 - 배우의 움직임을 따라다니는 것.
▶카메라 페이스 - 촬영되어 영사된 때의 얼굴. 스크린 페이스라고도 함. 배우들은 실제 얼굴보다 이 얼굴이 좋아야 한다.
'연극영화 뮤지컬과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화 신인배우 오디션 한중국제영화제 . (0) | 2022.05.23 |
---|---|
배우 지망생이 알면 좋은 카메라 샷 용어. 연극영화과 기본 상식 카메라 샷 명칭 정리. (2) | 2022.04.23 |
인천 부평 연기뮤지컬학원 레디액터스를 소개합니다^^ (0) | 2022.02.05 |
서울 경기지역 연극영화과 뮤지컬과 전문대학 경쟁률. 충청지역 부산지역 연극영화과 뮤지컬과 전문대학 경쟁률!! 전국 연기과 뮤지컬과 전문대 경쟁률 정리. (0) | 2021.12.15 |
4년제 연극영화과 경쟁률 , 뮤지컬과 경쟁률 확인!! 서울 경기권, 충청권, 부산지역 연극영화과 뮤지컬과 경쟁률!! (0) | 2021.12.12 |
댓글